코퍼레이트 아이덴티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퍼레이트 아이덴티티(CI)는 기업의 문화, 특성, 독자성을 시각적 요소, 소통 방식, 행동 규범 등을 통해 통합적으로 표현하여 기업의 가치를 높이는 전략이다. 기업 디자인, 기업 소통, 기업 행동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며, 기업의 이미지 구축, 내부 가치 공유, 생산성 향상 등 다양한 효과를 목표로 한다. 1940년대 이후 로고의 상업적 가치가 부각되면서 CI 개념이 발전했으며, 시각 아이덴티티는 기업의 가시성, 이미지, 구조 표현, 직원 동일시 등에 기여한다. CI는 네이밍, 기업 이념, 디자인 개발을 포함하며, 기업의 색상, 로고, 슬로건 등을 통해 통합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한다. 오늘날 많은 기업들이 코퍼레이트 브랜드 아래 여러 브랜드를 운영하며, 브랜드 포트폴리오 전략을 통해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있다.
코퍼레이트 아이덴티티(CI)는 기업이 추구하는 이상적인 모습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업의 문화, 특성, 고유한 정체성 등을 이미지, 디자인, 메시지 등을 통해 전달함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높이는 전략이다.[22] 1940년대까지는 이러한 개념이 없었으나, 기업 로고의 상업적 가치가 중요해지면서 CI 이미지 형성이 주목받게 되었다.[22]
기업 시각 정체성은 조직이 내부 및 외부 이해 관계자에게 자신을 제시하는 방식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일반적으로 조직의 가치와 야망, 사업 및 특성을 표현한다.
2. 개념
CI는 크게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22]2. 1. 기업 디자인
기업 디자인에는 로고, 유니폼, 기업의 색 등이 포함된다.[22] 코퍼레이트 아이덴티티(CI) 계획을 실행할 때 해당 기업을 상징하는 마크나 로고를 정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CI를 마크를 새롭게 하는 것으로 이해하기도 하지만, CI의 본질은 기업 문화를 높여 고객, 관계자, 기업, 사회와 더 나은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다.[22] 마크나 로고는 유행이나 시대의 분위기, 또는 단순히 새로움을 추구하여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기업이 내건 이념과 특성을 시각화한 것이다. 따라서 시대 변화에 좌우되지 않는 보편성과 경쟁 기업과 명확하게 차별화하기 위한 강한 독자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22] 새로운 마크는 기업을 상징하는 것으로서 보도 자료로 발표되어 사회에 널리 알리고, 그 후에도 PR과 다양한 프로모션에서 기업과 사회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마크와 로고는 지적 재산으로서 상표 등록되어 기업의 자산으로서 엄격하게 관리된다.[22]
2. 2. 기업 소통
기업 소통은 광고, 홍보 활동(PR), 정보 등을 포함한다.[22] 기업은 바람직한 모습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미지, 디자인, 메시지를 통해 자사의 문화, 특성, 독자성 등을 알려 회사의 존재 가치를 높이려 한다.
CI 계획을 실행할 때 해당 기업을 상징하는 마크나 로고를 정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CI의 본질은 기업 문화를 높여 고객, 관계자, 기업, 사회와 더 나은 관계를 맺는 것이다. 정해진 이념은 명확하고 친근한 언어로 만들어져 마크와 로고와 함께 통일된 방식으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에 사용된다. 이러한 언어는 역할에 따라 "코퍼레이트 스테이트먼트", "코퍼레이트 슬로건", "코퍼레이트 메시지" 등으로 불린다.
새로운 마크는 기업을 상징하는 것으로서 널리 사회에 알려지도록 모든 형태로 보도 자료를 내고, 이후에도 PR과 다양한 프로모션을 통해 기업과 사회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마크와 로고는 지적 재산으로서 상표 등록되어 기업의 자산으로 엄격하게 관리된다.[22]
다이킨 공업은 "공기로 답을 내는 회사"라는 코퍼레이트 메시지를 기업 광고 등의 메인 카피로 사용하고 있다(2019년). 이는 공조 장치 제조사(세계 1위)라는 "사업 영역", 가습, 제습, 알레르겐 등에 대한 대응(답을 내는 전문 제조사)이라는 "고유 능력", 에너지 절약 성능과 같은 "사회적 책임"의 세 가지를 모두 충족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2. 3. 기업 행동
기업 행동은 내부 가치, 규범 등을 포함한다.[22] 기업 행동은 주로 사회에서 기업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계획되고 실행되지만, 기업 내부에서도 가치를 공유하여 의식을 높이고 품질, 생산성, 취업 희망자 증가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3. 시각 아이덴티티
조직 변화 시기에는 기업 정체성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새로운 기업 정체성이 구현된 후에는 관련 문제에 대한 주의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지만, 기업 정체성은 구조적인 기반으로 관리되어 직원들에 의해 내면화되고 향후 조직 개발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17]
기업 시각 정체성 관리는 더 많은 일관성을 가져올 것이며, 구조적, 문화적, 전략적 측면을 포함해야 한다. 지침, 절차 및 도구는 기업 시각 정체성을 관리하는 구조적 측면으로 요약할 수 있다.
CI 계획 실행 시 해당 기업을 상징하는 마크나 로고를 책정하는 경우가 많아, "CI는 마크를 새롭게 하는 것"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그러나 CI의 본질은 기업 문화를 높여 고객을 비롯한 관계자, 기업, 사회와 더 나은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3. 1. 시각 아이덴티티의 기능
기업의 시각 아이덴티티는 단체의 내부 및 외부 이해 관계자에게 스스로를 나타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30] 기업 시각 정체성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기능을 갖는다.
4. 기업의 색
기업의 색은 즉시 인지 가능한 기업 시각 아이덴티티의 요소 중 하나로서, 강력한 비언어 메시지를 제공한다.[1]
4. 1. 주요 기업 색상 예시
Corporate color영어는 기업의 시각적 정체성을 나타내는 가장 즉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요소 중 하나이며, 회사를 대신하여 강력한 비언어적 메시지를 전달한다. 주요 기업 색상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5.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IMC)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IMC)은 소비자의 마음에 브랜드 포지셔닝의 명확성과 일관성을 확립하려는 개념과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스의 집합이다.[7] Holm(Laurie & Mortimer, 2011에서 인용)에 따르면, IMC는 궁극적인 단계에서 기업 수준에서 구현되어 조직의 모든 측면을 통합하며, 이는 브랜드 조화를 시작하고, 다시 강력한 기업 아이덴티티를 고취시킨다.
강력한 조화와 기업 아이덴티티는 IMC의 구현과 통합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Duncan과 Moriarty는 IMC 통합에 세 가지 수준이 있다고 주장했다. (자세한 내용은 IMC 통합의 3단계 참조)
5. 1. IMC 통합의 3단계 (Duncan과 Moriarty 모델)
Duncan과 Moriarty(Laurie & Mortimer, 2011에서 인용)가 제시한 커뮤니케이션 기반 모델은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IMC) 통합에 세 가지 수준이 있다고 주장한다.[8][9][10][11][12][13][14] 각 단계별 내용은 다음과 같다.단계 | 내용 | 이해 관계자 |
---|---|---|
1단계: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수준 | IMC 결정은 개인 판매, 광고, 판매 촉진, 다이렉트 마케팅, 홍보, 포장 및 이벤트 부서 등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수준 메시지 소스에 의해 이루어진다. | 소비자, 지역 사회, 미디어, 이익 집단 |
2단계: 마케팅 수준 | 1단계 통합 부서가 의사 결정 권한을 가지지만, 제품 믹스, 가격 믹스,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유통 믹스가 결정되는 부서 등 마케팅 수준 메시지 소스의 지침을 받는다. | 유통업체, 공급업체, 경쟁사, 소비자 |
3단계: 기업 수준 | 행정, 제조 운영, 마케팅, 재무, 인적 자원, 법률 부서 등 조직의 기업 수준에 메시지 소스가 있다. | 직원, 투자자, 금융계, 정부, 규제 기관 |
IMC 통합의 최종 단계에서 IMC 결정은 기업 수준 부서뿐만 아니라 1단계 및 2단계로 분류된 부서에서도 이루어진다. 소비자와의 수평적이고 비선형적인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달성하는 것은 모든 조직 부서의 포함이다. 마케팅 회사의 모든 측면을 통합함으로써 커뮤니케이션이 동기화되어 일관성, 조화, 궁극적으로 강력한 코퍼레이트 아이덴티티를 달성한다.
6. 조직적 관점
피터 페베렐리는 자신의 저서와 2006년 단행본에서 조직 이론에 기반한 기업 아이덴티티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제시한다. 이 정의에 따르면 기업 아이덴티티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결과로 형성된다.[1]
기업 아이덴티티는 기업 행위자(회사를 대표하여 행동하는 사람)가 특정 상황에서 다른 행위자와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회사를 이해하는 방식이다. 여기에는 현실에 대한 공유된 인식, 일하는 방식 등 상호 연결된 행동이 포함된다. 이 과정에서 기업 행위자는 다른 행위자와 동등하게 중요하며, 기업 아이덴티티는 회사뿐만 아니라 관련된 대상에게도 적용된다.[1]
6. 1. 성공적인 기업 아이덴티티 전략의 핵심 요소
성공적인 기업 아이덴티티 전략을 위해서는 다음의 네 가지 핵심 브랜드 요구 사항이 중요하다.- 차별성: 오늘날의 치열한 경쟁 시장에서 브랜드는 명확한 차별성 또는 존재 이유를 가져야 한다. 주목을 받고, 인상을 남기고, 궁극적으로 선호되기 위해서는 그들이 나타내는 것이 다른 것들과 구별되어야 한다.
- 적합성: 브랜드는 사람들이 세상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과 연결되어야 한다. 수요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의도된 대상의 요구와 열망을 이해하고 충족해야 한다.
- 일관성: 대상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브랜드는 말과 행동에 있어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 모든 메시지, 모든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모든 브랜드 경험, 모든 제품 전달은 함께 어울리고 의미 있는 무언가가 되어야 한다.
- 존경: 차별화되고, 적합하며, 일관된 브랜드는 내부 및 외부 대상 모두에게 가치를 인정받는 브랜드이다. 존경은 약속된 경험과 전달된 경험 모두에서 명확하게 실행함으로써 브랜드가 얻은 평판이다.
7. 역사
기원전 7000년경, 트란실바니아의 도공들은 자신이 만든 토기에 개인적인 표시를 새겼다. 솜씨 좋은 도공의 표시는 자연스럽게 더 많은 가치를 지니게 되었다. 종교는 기독교의 십자가, 유대교의 다윗의 별, 이슬람의 초승달 등 잘 알려진 정체성 표시를 만들어냈다. 중세 시대 왕과 귀족들은 문장과 왕실 인장을 옷, 갑옷, 깃발 등에 새겨 넣어 혈통과 가문을 나타냈다.[18]
15세기에는 상표가 개인의 전문 자격을 나타내는 상징이 되었다. 예를 들어, 의사의 표시에 있는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는 숙련된 의술 실무자임을 나타냈다. 16세기에는 카두세우스와 같은 단순한 그래픽이 사회 경제적, 정치적 중요성을 갖게 되었고, 유럽 전역에 정부 기관이 설립되어 수공업 조합에서 사용되는 상표를 등록하고 보호했다.
산업 혁명 동안 사업이 비농업 기업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기업 의식이 급증했고, 로고 사용이 보편화되었다. 로고는 단순한 식별자를 넘어 자산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19] 로고는 현재 기업의 시각적 식별자이자 브랜드를 전달하고 메시지를 통합하는 기업 정체성의 구성 요소이다.[20]
1940년대까지 "기업 이미지" 및 "[브랜드 아이덴티티]"라는 용어는 사용되지 않았지만, 20년 안에 사업 성공의 핵심 요소가 되었다.
7. 1. 서구권
기원전 7000년경, 트란실바니아의 도공들은 자신이 만든 토기에 개인적인 표시를 새겼다. 솜씨 좋은 도공의 표시는 자연스럽게 더 많은 가치를 지니게 되었다. 종교는 기독교의 십자가, 유대교의 다윗의 별, 이슬람의 초승달 등 잘 알려진 정체성 표시를 만들어냈다. 중세 시대 왕과 귀족들은 문장과 왕실 인장을 옷, 갑옷, 깃발 등에 새겨 넣어 혈통과 가문을 나타냈다.[18]15세기에는 상표가 개인의 전문 자격을 나타내는 상징이 되었다. 예를 들어, 의사의 표시에 있는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는 숙련된 의술 실무자임을 나타냈다. 16세기에는 카두세우스와 같은 단순한 그래픽이 사회 경제적, 정치적 중요성을 갖게 되었고, 유럽 전역에 정부 기관이 설립되어 수공업 조합에서 사용되는 상표를 등록하고 보호했다.
산업 혁명 동안 사업이 비농업 기업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기업 의식이 급증했고, 로고 사용이 보편화되었다. 로고는 단순한 식별자를 넘어 자산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19] 로고는 현재 기업의 시각적 식별자이자 브랜드를 전달하고 메시지를 통합하는 기업 정체성의 구성 요소이다.[20]
1940년대까지 "기업 이미지" 및 "[브랜드 아이덴티티]"라는 용어는 사용되지 않았지만, 20년 안에 사업 성공의 핵심 요소가 되었다. 1950년대 미국에서는 모던 아트의 융성과 함께 기업 로고마크의 상업적 가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비주얼 아이덴티티 전문가가 증가했다.[22] 1960년대에는 매스 미디어의 발전과 함께 CI 확립이 비즈니스 모델 구축의 중요 요소로 인식되었다.[22]
7. 2. 한국
1975년 봄, 마쓰다(동양공업)의 CI 도입은 일본에서 CI 계획의 본격적인 시작이었다. 나카니시 모토오가 이끄는 PAOS는 5년에 걸쳐 CI를 개발했으며, 뉴욕에서 활동하는 레이 요시무라가 심볼 겸 로고 디자인을 담당했다.[23] 1980년대에는 버블 경제의 영향으로 "CI 붐"이 일어났고, 다수의 지방 박람회에서도 CI가 채택되었다.[24] 1990년대에는 다양한 기업들이 CI를 도입하였다. 2000년경부터는 새로운 전략 개념인 "브랜딩"이 CI의 역할을 이어받아 현재에 이르고 있다.8. 구성 요소
CI는 다음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26][27][28]
요소 | 의미 |
---|---|
MI (Mind Identity) | 이념의 통일 |
BI (Behavior Identity) | 행동의 통일 |
VI (Visual Identity) | 시각의 통일 |
즉, 기업은 정해진 이념을 공유하고, 이념에 기반한 사고방식과 행동으로 상품을 제조·공급한다. 그리고 기업·제품의 뛰어난 특성과 독자성을 통일된 이미지와 디자인, 알기 쉬운 메시지로 발신하는 일련의 과정을 계획적이고 확실하게 실행하여, 사회에서 더 나은 기업 활동, 커뮤니케이션, 관계를 구축하고 경쟁 기업과 명확하게 차별화한다. "정보의 90%는 시각을 통해 전달된다"는 말처럼, 마크 등의 시각적 변화가 주목받는 경우가 많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가치와 행동의 실천이 CI 계획을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매우 중요하다.
9. CI 계획 개발 항목
CI 계획은 기업의 바람직한 모습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업 문화, 특성, 독자성 등을 이미지, 디자인, 메시지로 전달하여 회사의 존재 가치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22] CI 계획 개발에는 네이밍 개발, 기업 이념 개발, 디자인 개발 등의 항목이 있다.
이 외에도 적절한 CI는 사업 영역, 고유 능력, 사회적 책임이 겹치는 곳에 위치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다이킨 공업은 "공기로 답을 내는 회사"라는 코퍼레이트 메시지를 기업 광고에 사용하는데(2019년), 이는 공조 장치 제조사(세계 1위)라는 "사업 영역", 가습, 제습, 알레르겐 대응(전문 제조사)이라는 "고유 능력", 에너지 절약 성능이라는 "사회적 책임"을 모두 충족한다.[22]
9. 1. 네이밍 개발
경쟁 기업 및 경쟁 브랜드와 명확히 차별화하기 위한 명칭.9. 2. 기업 이념 개발
CI 계획을 실행할 때, 해당 기업을 상징하는 마크나 로고를 정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CI는 마크를 새롭게 하는 것"으로 이해되기도 하지만, CI의 본질은 기업 문화를 높여 고객, 관계자, 기업, 사회와 더 나은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정해진 이념은 명확하고 친근한 언어로 만들어져 마크와 로고와 함께 통일된 사용법으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에 사용된다. 이러한 언어는 그 역할에 따라 "코퍼레이트 스테이트먼트", "코퍼레이트 슬로건", "코퍼레이트 메시지" 등으로 불린다.[22]마크나 로고는 유행이나 시대의 분위기, 또는 단순히 새로움을 추구하여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기업이 내건 이념과 특성을 시각화한 것이다. 따라서 시대 변화에 좌우되지 않는 보편성과 경쟁 기업과 명확하게 차별화하기 위한 강한 독자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새로운 마크는 기업을 상징하는 것으로서 널리 사회에 침투하도록 모든 형태로 보도 자료로 발표되며, 그 후에도 PR과 다양한 프로모션의 핵심으로서 기업과 사회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마크와 로고는 지적 재산으로서 상표 등록되어 기업의 자산으로서 엄격하게 관리된다.[22]
- 코퍼레이트 철학(기업 이념)
- 코퍼레이트 스테이트먼트
- 코퍼레이트 슬로건
- 코퍼레이트 메시지
9. 3. 디자인 개발
CI 계획을 실행할 때, 해당 기업을 상징하는 마크나 로고를 정하는 경우가 많다. CI의 본질은 기업 문화를 높여 고객, 관계자, 기업, 사회와 더 나은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정해진 이념은 명확하고 친근한 언어로 만들어져 마크와 로고와 함께 통일된 사용법으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에 사용된다. 이러한 언어는 역할에 따라 "코퍼레이트 스테이트먼트", "코퍼레이트 슬로건", "코퍼레이트 메시지" 등으로 불린다.[22]마크나 로고는 유행이나 시대의 기분을 따르거나 단순히 새로움을 추구하여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기업이 내건 이념과 특성을 시각화한 것이다. 시대의 변화에 좌우되지 않는 보편성, 경쟁 기업과 명확하게 차별화하기 위한 강한 독자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새로운 마크는 기업을 상징하는 것으로서 모든 형태로 보도 자료를 통해 사회에 널리 알리고, PR과 다양한 프로모션의 핵심으로서 기업과 사회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마크와 로고는 지적 재산으로서 상표 등록되어 기업의 자산으로서 엄격하게 관리된다.[22]
CI 디자인 개발 항목은 다음과 같다.[22]
- 기업 또는 브랜드 마크
- 기업 또는 브랜드 로고
- 정식 사명 로고타입 (영문, 국문)
- 코퍼레이트 메시지 등의 로고화
- 코퍼레이트 컬러 사용 규정
이러한 항목들은 CI 매뉴얼로 만들어져 사용법을 엄격하게 관리한다. 프로모션 등에서 마크나 로고를 사용할 때는 CI 매뉴얼에서 정한 규정에 따라 배치, 크기, 색상 등을 충실히 재현해야 한다. 이는 광고처럼 일시적인 자극에 대한 반응을 모으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이념과 비전을 효율적으로 인지시키고 공감과 신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또한 오랜 시간 동안 이미지가 변질되지 않고 항상 신선함을 유지하며 기업의 존재를 사회에 확실하게 알려야 하기 때문이다.[22]
10. 코퍼레이트 브랜드와 프로덕트 브랜드
오늘날 많은 기업은 코퍼레이트 브랜드 아래 여러 브랜드를 소유하고 있으며, 대상 고객이나 상품 특성에 맞춰 브랜드를 전개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소유 브랜드끼리 시장에서 충돌하는 사태를 피하고, 개별 브랜드가 가진 브랜드력을 결집하여 코퍼레이트 브랜드의 가치를 높여가는 브랜드 포트폴리오에 기반한 브랜드 관리가 필요하게 된다.[1]
10. 1. 브랜드 예시
기업/브랜드 | 설명 |
---|---|
EIZO | 디스플레이 장치 브랜드이다. |
JVC켄우드(구 일본 빅터/구 켄우드) | Victor(빅터) : 가전제품 전반. 자회사인 빅터 엔터테인먼트나 빅터 인테리어에서도 이 브랜드를 사용한다. |
JVC(제이·브이·씨) : 카 오디오 및 일본 외 음향·영상 제품 브랜드이다. | |
KENWOOD(켄우드) : 이전 이름은 TRIO(트리오)였다. 경영 통합 후 세 번째 브랜드가 되었다. 현재는 무선 기기나 카 일렉트로닉스 분야를 주력으로 브랜드를 재건하고 있다. | |
KDDI (오키나와 셀룰러 전화 포함) | au (에이유) : 휴대 전화를 포함한 이동통신 사업과 개인 및 법인 대상 IT 서비스 브랜드이다. |
iida (이다, 이이다) : au design project를 대신하는 디자인 프로젝트 관련 브랜드이다. | |
아스키·미디어웍스 (현 KADOKAWA) | 전격(덴게키) : 잡지·서적 관련 브랜드로, 메인 브랜드이다. |
ASCII MEDIA WORKS(아스키 미디어 웍스) : 게임 소프트·라이트 노벨(일반 소설 지향)·서적 관련 브랜드이다. 게임 소프트용 브랜드는 구 미디어웍스의 브랜드(MEDIA WORKS/media works)에서 계승했다. | |
ASCII(아스키) : IT 관련 잡지·서적의 브랜드이다. | |
아이·오·데이터 기기 | I-O DATA(아이·오·데이터) : 컴퓨터 주변 기기 전반에 사용된다. |
도전자 (쵸센샤) : PC 상급자 대상 컴퓨터 주변 기기 브랜드였으나, 현재는 휴면 상태이다. | |
에디온 | DEODEO(데오데오) : 주고쿠, 시코쿠, 규슈 지방의 스토어 브랜드이다. |
MIDORI(미도리 전가) : 간사이 지방의 스토어 브랜드이다. | |
EIDEN(에이덴) : 주부 지방의 스토어 브랜드이다. | |
ishimaru(이시마루 전기) : 간토 지방의 스토어 브랜드이다. | |
온쿄 | ONKYO(온쿄) : 가전 제품 전반에 사용된다. |
WAVIO(웨비오) : PC용 음향 제품의 브랜드이다. | |
SOTEC (소텍) : 퍼스널 컴퓨터의 브랜드이다. | |
Integra(인테그라) : 음향·영상 제품의 브랜드이다(고가 제품 중심). | |
산요 전기 | SANYO(산요) : 가전 제품 전반에 사용된다. |
OTTO(오토) : 음향 제품의 브랜드였으나,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 |
샤프 | SHARP(샤프) : 가전 제품 전반에 사용된다. |
OPTONICA(옵토니카) : 음향 제품의 브랜드였으나,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 |
스바루 (구 후지 중공업) | 스바루(SUBARU) : 자동차 제조 부문의 브랜드이다. |
로빈 (Robin) : 범용 엔진의 브랜드이다. | |
래빗 (Rabbit) : 과거에는 이륜차 및 소방용 엔진펌프 브랜드였으나, 현재는 마키타 누마즈 (구·후지 로빈)의 일부 브랜드로 사용되고 있다. | |
소니 | SONY(소니) : 가전 제품 전반에 사용된다. |
AIWA (아이와) : 음향·영상 제품의 브랜드였다(저가 제품 중심). 2017년에 토와다 오디오가 일본에서의 상표권을 소니로부터 취득하여 브랜드를 다시 시작했다. | |
QUALIA (쿠오리아) : 음향·영상 제품의 브랜드였으나(고가 제품 중심), 현재는 순차적으로 판매가 종료되었다. | |
태양 유전 | That's(잣츠) : 기록 미디어 전반에 사용된다. |
티악 | TEAC(티악) : 가전 제품 전반에 사용된다. |
TASCAM(타스캄) : 업무용 음향 제품의 브랜드이다. | |
ESOTERIC(에소테릭) : 음향·영상 제품의 브랜드이다(고가 제품 중심). | |
도쿄 방송 홀딩스 | TBS(티비에스) : 그룹 통일 브랜드이자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 자회사인 TBS 텔레비전의 약칭 및 채널명이다. 영상 소프트 레이블로도 사용된다. |
BS-TBS(비에스·티비에스) : 자회사인 동명의 위성 디지털 방송 사업자의 사명 및 BS 채널명이다. | |
TBS 라디오(티비에스·라디오) : 자회사인 동명의 라디오 방송 사업자의 사명 및 채널명이다. | |
도시바 | TOSHIBA(도우시바) : 가전 제품 전반에 사용된다. |
Aurex (오렉스) : 음향 제품의 브랜드였다. 2016년 3월에 퍼스널 CD 라디오 시스템을 발매하여 브랜드를 부활시켰다. | |
도요타 자동차 | 도요타(TOYOTA) |
렉서스 (LEXUS) : 도요타(TOYOTA) 브랜드에서 분리한 고급차 전문 브랜드이다. | |
사이언 (SCION) : 도요타(TOYOTA) 브랜드에서 분리한 젊은층 대상 브랜드이다. 일본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 |
닛산 자동차 | 닛산(NISSAN) |
인피니티 (INFINITI) : 일본 외 고급차 브랜드이다. | |
닷선 (DATSUN) : 과거에는 국내나 북미에서도 사용하던 소형차 전문 브랜드였으나, 현재는 신흥국을 중심으로 전개하고 있다. | |
파이오니아 | Pioneer(파이오니아) : 가전 제품 전반에 사용된다. |
TAD (타드) : 업무용 음향 제품의 브랜드이다. | |
carrozzeria (카로체리아) : 카 오디오 브랜드이다. | |
ELITE(엘리트) : 일본 외 음향·영상 제품의 브랜드이다(고가 제품 중심). | |
파나소닉 | Panasonic(파나소닉) : 가전 제품 전반에 사용된다. |
National(내셔널) : 가정용 가전 제품의 브랜드였으나, 현재는 파나소닉에 통합되어 사용되지 않는다. | |
테크닉스 (Technics) : 음향 제품의 브랜드이다. | |
RAMSA(람사) : 업무용 음향 제품의 브랜드였으나, 현재는 파나소닉 브랜드의 일부가 되었다. | |
버팔로 | BUFFALO(버팔로) : 컴퓨터 주변 기기 전반에 사용된다. |
구루토 시코 (쿠로토 시코) : PC 상급자 대상 컴퓨터 주변 기기의 브랜드이다. | |
반다이 남코 게임스 | namco(남코) : 게임 소프트 관련 브랜드이다. |
BANDAI(반다이) : 구 반다이에서 회사 분할에 의해 계승한 게임 브랜드이다. | |
BANPRESTO(반프레스토) : 구 반프레스토에서 회사 분할에 의해 계승한 게임 브랜드이다. | |
히타치 제작소 | HITACHI(히타치) : 가전 제품 전반에 사용된다. |
로-D (로디) : 음향 제품의 브랜드이며, 현재도 양판점 대상 브랜드로 사용하고 있다. | |
후지필름 | FUJIFILM(후지필름) : 화학 제품 전반에 사용된다. |
AXIA (악시아) : 기록 미디어 전반의 브랜드였지만, 현재 사용되지 않는다(FUJIFILM으로 통합). | |
후지논 (FUJINON) : 의료용 기기 관련 브랜드이다. | |
혼다 기술 연구소 | 혼다(Honda) : 자동차 제조 부문의 브랜드이다. 자동차 외에도 오토바이 및 소형 농기 관련 분야에도 전개한다. |
아큐라 (ACURA) : 일본 외 고급차 브랜드이다. | |
마쓰야 덴키 | Caden(캐덴) : 현재 스토어 브랜드이다. |
마쓰야 덴키(MATSUYA DENKI) : 과거에 존재했던 주력 스토어 브랜드이다. 현재는 캐덴과 병기하여 지속 사용한다. | |
미쓰이 농림 | 닛토 홍차(닛토 코차) : 홍차 사용 가공품 브랜드이자 주력 브랜드이다. |
미쓰이 명차(미쓰이 메이차) : 녹차 가공품(인스턴트) 브랜드이다. | |
미쓰비시 화학 미디어 | MITSUBISHI(미쓰비시) : 기록 미디어 전반에 사용되었으나, 2010년 이후 순차적으로 브랜드가 폐지되었다. |
Verbatim(버베이텀) : 일본 외 기록 미디어의 브랜드이다. | |
미쓰비시 전기 | MITSUBISHI(미쓰비시) : 가전 제품 전반에 사용된다. |
DIATONE (다이아톤) : 음향 제품의 브랜드이다(고가 제품 중심). | |
모리나가 유업 | Morinaga/MORINAGA(모리나가, 모리나가) : 주력 브랜드이다. |
ESKIMO(에스키모) : 2010년 9월 말까지 사용했던 아이스크림 브랜드이다. | |
유키지루시 메구밀크 | 유키지루시(SNOW BRAND(스노우 브랜드) : 일본 국내 유제품 브랜드이다. |
MEGMILK(메구밀크) : 유키지루시 우유에서 현재의 브랜드로 개칭되었다. | |
Yoplate(요플레이) : 유럽발 요구르트 관련 상품 브랜드이다. | |
요츠바 마크 : 과거에 존재했던 요츠바 유업의 브랜드이다. |
참조
[1]
서적
Designing Corporate Identity: graphic design as a business strategy
Rockport Publishers
[2]
웹사이트
Corporate identity
http://www.businessd[...]
Businessdictionary.com
2016-03-18
[3]
웹사이트
Personal communication
http://www.businessd[...]
Businessdictionary.com
2016-03-17
[4]
웹사이트
Marketing to the senses: A multisensory strategy to align the brand touchpoints
warc.com
WARC
2015-12-08
[5]
웹사이트
Apple brand architecture
http://www.marketing[...]
Marketing Minds
2016-03-18
[6]
서적
Consumer behavior
Cengage Learning
[7]
서적
Principles of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Advertising and promotion: An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perspective
McGraw-Hill Irwin
[9]
서적
Marketing communications: A brand narrative approach
John Wiley & Sons
[10]
웹사이트
Disire
http://www.dictionar[...]
Dictionary.com
2016-03-17
[11]
웹사이트
LifeBeat: Know your status stage
http://www.warc.com/
Effie Worldwide
2015-12-08
[12]
서적
Essentials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Pearson Education Limited
[13]
간행물
'#REDIRECT IMC is dead. Long live IMC': Academics' versus practitioners' views
[14]
웹사이트
Persuasion in everyday life
https://aut.kanopyst[...]
Marcom Projects
[15]
문서
Balmer and Gray, 2000; Dowling, 1993; Du Gay, 2000
[16]
문서
Bromley, 2001; Dutton, Dukerich and Harquail, 1994; Kiriakidou and Millward, 2000
[17]
문서
Van den Bosch, 2005
[18]
문서
Brown, 1998
[19]
문서
Bercume, 2009
[20]
논문
The role of brand logos in firm performance
http://dx.doi.org/10[...]
2013-02
[21]
문서
Chouliaraki, 2010
[22]
서적
全史×成功事例で読む「マーケティング」大全
かんき出版
[23]
문서
『 CI - マーク・ロゴの変遷 』
[24]
웹사이트
2-3.1980年代 : コーポレート・アイデンティティ研究
http://www.corporate[...]
[25]
웹사이트
학회HP
http://jsmd.jp/
日本商業学会
2022-01-23
[26]
문서
mind identity
[27]
문서
behavior Identity
[28]
문서
visual identity
[29]
서적
Designing Corporate Identity: graphic design as a business strategy
Rockport Publishers
[30]
문서
Balmer and Gray, 2000; Dowling, 1993; Du Gay, 2000
[31]
문서
Bromley, 2001; Dutton, Dukerich and Harquail, 1994; Kiriakidou and Millward,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